에르노트

[네트워크 용어 정리]TCP? IP? 프로토콜? 인터넷? 본문

CS/Network

[네트워크 용어 정리]TCP? IP? 프로토콜? 인터넷?

두콩 2019. 9. 14. 23:57

 컴퓨터 네트워크 수업을 듣게되면서 각종 용어들에 대해 정리할 필요가 생겼다. 각 용어들의 의미를 파악하는 과정은 곧 네트워크, 그리고 인터넷의 발달 역사와 직결된다. 인터넷이 어떻게 발전해왔는지의 역사 속에는 네트워크 통신의 원리가 그대로 녹아있으리라. 따라서 네트워크 공부에 있어서 용어 정리는 단순한 용어 정의를 익히는 것 그 이상이라고 생각한다.

 

인터넷

 

"인터넷은 인간이 발명해 놓고도 이해하지 못하는 최초의 발명품이며, 역사상 최대 규모의 무정부주의에 대한 실험이다."
- 에릭 슈밋

 

인터넷은 TCP/IP를 기반으로하여 전세계적으로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를 일컫는다. 월드 와이드 웹(WWW)에 해당하는 전통적인 웹뿐만 아니라 모바일 앱 역시도 인터넷에 포함되며, 따라서 인터넷은 그야말로 유례없는 정보의 바다라고 표현될 수 있다.


프로토콜

 

그러면 인터넷을 정의하는데 등장한 TCP/IP란 무엇인가? 이를 알아보기 위해 우선 P에 해당하는 프로토콜(Protocol)을 알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프로토콜이란 '약속'이다. 중국인과 한국인이 만나서 서로 각자의 언어로 얘기해버리면 말이 안통하듯,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교환에서도 보내는 형태와 받으려는 형태가 다르면 통신이 성립되지 못한다. 따라서 어떠한 형태로 데이터를 전송할건지를 정해둘 필요가 생겼고, 이것이 바로 '전송 규약'으로 번역되는 프로토콜이다. 그 예시로는 TCP/IP 외에도 HTTP나 FTP 등이 있다.


OSI 7계층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OSI 모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7가지 계층으로 나눠서 설명한 모델이다. 고등학교 정보 시간에 뭔지도 모르고 무턱대고 시험에 나온다니까 외웠던 기억이...

제일 아래에 물리 계층이 깔려있고, 제일 위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이 돌아간다는 얘기로서 어떻게보면 매우 직관적인 모델이다. 그 중 네트워크 계층에서 IP가 등장하고 그 위의 전송 계층에서 TCP가 등장한다는 점을 기억해두자! 이 둘을 엮어서 쓰는게 일반적이어서 묶어서 TCP/IP라고 부른다.

 

더 자세한 설명은 여기 참조.


TCP

Transmisson Control Protocol. 일단 직역하면 전송을 제어하는 프로토콜이다. 여기서 TCP의 핵심은 연결을 보장한다는 것이다. 한쪽이라도 뭔가 문제가 있으면 성공적인 데이터 전송에 차질이 있을 것이므로, Three-Way Handshake 방식으로 연결을 보장다는 것이다.

 

Three-Way Handshake

1) 상대에게 통신을 하고 싶다는 메시지를 보낸다. (SYN)
2) 상대는 그 메시지에 대한 응답 + 나도 통신 준비가 되었다는 메시지를 보낸다. (SYN-ACK)
3) 2번에서 받은 메시지에 응답을 보낸다. (ACK)

 

연결이 보장된 후에는 데이터를 보내고 받으면 된다. 그런데 이때 다량의 데이터를 한번에 처리할 수 없으므로 조금씩 끊어서 보내줘야한다. 큰 대야에 담긴 물을 직접 들기는 너무 무거워서, 여러 개의 컵에 나눠 담아 옮긴 후에 다시 대야에 부어버린다는 느낌으로 이해하면 좋을 것 같다. 


IP

Internet Protocol. OSI 7계층에서 3번째(Network Layer)에 위치하는 프로토콜. 아마도 제일 익숙한 용어가 아닐까 싶은데, 'IP추적'으로 많이들 알려져있기 때문일 것이다. 실제로 온라인 상에서 시비가 붙으면 IP를 따내서 뭔가하려는 시도도 많이 보이고(...), 지나친 악성댓글을 남길 경우 IP가 빌미가 되어 추적당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IP address라고도 많이 표현되는데, IP주소는 마치 실제 우편함에 적는 주소처럼 인터넷 상의 주소(식별자)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IP를 통하지 않고는 인터넷 통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컴퓨터 네트워크에 있어서 매우 중효한 핵심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