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르노트

애드몹(Admob) app-ads.txt 적용하기 본문

Troubleshooting

애드몹(Admob) app-ads.txt 적용하기

두콩 2019. 8. 27. 16:10

 

 얼마전 구글 애드몹에서 한 통의 메일이 날아왔다. 구글플레이에 게시한 몇몇 앱들이 애드몹을 통해 정말 미비한 수익을 내고있었기 때문이다. 내용을 요약하면 결국 '우리가 새로운 정책을 도입했으니 너희는 적용하라'는 것이다.. 그러고보면 2019-08-27 이전에 미리 적용하는게 중요하다는데 이 글을 쓰는 시점이 딱 그날이다..ㅎㅎ

 

 그래서 app-ads.txt는 머하는 녀석인가? 이 녀석의 기원은 ads.txt이다. ads.txt는 원래 데스크톱 및 웹, 그러니까 일반 PC환경의 광고 플랫폼에서 구현되는거였다. 그 ads.txt가 모방일로 확장된 것이 app-ads.txt라고 이해하면 적당할거 같다. 파일의 확장자에서 알 수 있듯, app-ads.txt는 개발자의 웹사이트에 업로드되는 텍스트 파일이다. 그 내용은 자신의 광고 소스들을 목록화해두는 것으로, 인벤토리 위장을 방지한다. 인벤토리 위장이란 누군가가 마치 내 앱인거처럼 위장하여 광고 노출을 가로채는 부정 행위를 의미한다. 또 광고주들 입장에선 일종의 보안이 추가된 광고 퍼블리셔에게 자신의 광고를 노출시키기 원하므로, 상대적으로 app-ads.txt를 구현하지 않았을 때 경쟁력을 잃을 수 있다.

 

 

app-ads.txt가 모바일 앱에 어떤 이점을 줄 수 있습니까?

앱 개발자에게는 두 가지 주요 이점이 있습니다.

  1. 브랜드 지출에서 수익을 얻습니다. 오늘날의 브랜드는 개발자에게 점점 더 많은 수익 기회를 제공합니다. app-ads.txt를 준수하는 많은 광고 구매자 플랫폼(DSP)이 웹에서 승인되지 않은 인벤토리를 구매하지 않는 것처럼 app-ads.txt 파일이 누락된 인벤토리를 구매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app-ads.txt를 적용하지 않은 개발자는 광고 구매자 플랫폼(DSP)의 대상 미디어 풀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2. 부정 광고를 퇴치합니다. 부정 행위자는 정상적인 앱처럼 가장하는 앱을 위조 할 수 있으며 위조 된 인벤토리에서 브랜드 예산을 사용하도록 광고 구매자 플랫폼(DSP)을 호도할 수 있습니다. 합법적인 개발자는 결국 원래 의도된 광고 수익을 얻지 못하게 됩니다. App-ads.txt는 승인되지 않은 개발자의 명의 도용을 차단하고 궁극적으로 개발자의 수익을 저해하는 부정 행위의 최소화합니다.

 

구현 자체는 심플하다. 그냥 하라는대로하면 된다.. 다만 승인된 앱 판매자 명세라는 것이 단번에 이해하기는 좀 어려웠다. 승인된 앱 판매자 명세에 대한 상세 내용은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그 중 앱 개발자에게 해당되는 핵심만 추리면,

구글플레이 또는 앱스토어의 앱 등록정보에서 자신의 웹사이트 url을 추가하고, 해당 사이트의 루트 디렉토리에 app-ads.txt를 업로드하라는 얘기이다.

 

google.com, pub-0000000000000000, DIRECT

 

이대로 퍼블리셔 아이디를 자신에게 맞는 것으로 교체한 후 루트 디렉토리에 올려주면 끝!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