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르노트

[파일질라] FTP 접속 프로그램 FileZilla 본문

CS/Network

[파일질라] FTP 접속 프로그램 FileZilla

두콩 2017. 12. 17. 12:13

앞서 포스팅했던 마인크래프트BE 서버를 여는 과정에서 FTP 클라이언트가 자주 쓰이게 됩니다. 뿐만 아니라 웹호스팅을 통해 일반적인 웹사이트를 운영할 때도 FTP클라이언트를 사용하면 편리할 때가 많습니다. 웹사이트 구축을 위해 ExpressEngine 혹은 GNU보드 등을 업로드하거나 호스팅한 가상서버의 저장소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하는 등 그 용도는 정말로 많습니다.


또한 SHH로 접속하여 명령어로 처리해야하는 부분들을 그래픽UI를 통해 보고 손쉽게 처리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라면 장점일 것입니다. 예를 들어 디텍토리를 만들고 싶을 때 'mkdir' 을 입력하는 대신 마우스를 우클릭하여 '디텍토리 생성'을 클릭하면 됩니다. 마찬가지로 파일 권한을 설정할 때도 chmod 명령어를 쓰는 대신 직관적인 체크 박스를 보면서 직접 각 권한여부를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이럴 때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대표적인 것이 바로 FileZilla입니다.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프로그램이기도하고, 설치 버전과 함께 무설치(portable) 버전도 지원이 되므로 USB에 넣어다니면서 쓰기도 편리합니다. 국산으로는 알FTP라는 프로그램이 많이 쓰이는데, 알집과 알약으로 유명한 이스트소프트의 프로그램입니다. 더불어 안드로이드(모바일)에서는 터보 클라이언트라는 프로그램이 쓸만합니다. 여기서는 간단하게 파일질라 프로그램의 사용법을 안내하겠습니다.



처음 실행했을 때의 화면입니다. 좌측에는 로컬 파일이, 우측에는 리모트 파일이 나오는데 아직 아무데도 접속하지 않았으므로 '서버에 연결되지 않았음'이라는 문구만 뜹니다. 이제 접속을 하면 되는데, 상단에 보이는 빠른 연결을 이용할 수도 있고, 사이트 관리자에 사이트를 등록하여 두고두고 쓸 수도 있습니다. 일회성 접속이라면 전자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사이트라면 후자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사이트 관리자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뜹니다.



저 같은 경우 두개의 사이트를 등록해놓은 상태인데, 하나는 웹서버에 미디어위키를 구축한 것이고(ftp), 또 다른 하나는 위에 사진에 보이는 리눅스 가상 서버 호스팅(sftp)입니다. 이 가상서버는 지난번 포스팅했던 마인크래프트BE 서버 구축에 사용된 것입니다ㅎㅎ


여기는 위키백과를 구축하는 프로그램인 미디어위키의 내부 파일 구조입니다. 기회가 된다면 다음번에 나만의 위키백과를 만들 수 있는 미디어위키 설치에 대해서 글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는 PMMP를 설치한 가상 서버 호스팅의 디텍토리입니다. 여기에는 우분투가 설치되어 있고, 그 위에서 PMMP가 구동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을 직접 업로드하려면 이 과정을 거쳐야만 합니다. 각각의 플러그인에 대한 세부 설정 파일들(yml)을 수정할 때도 파일질라를 통해 곧바로 편집할 수 있습니다. 물론 편집 프로그램은 따로 연결해야 합니다. 여담으로 앞서 잠깐 언급했던 모바일 전용 터보 클라이언트에서는 자체적으로 터보 에디터를 지원하기도 합니다.


아주 단편적인 예시들을 소개해드렸는데, FTP 클라이언트의 활용은 정말 무궁무진합니다. 웹사이트 관리자라면 필수 프로그램이 될것이며, 각종 게임의 서버 구동기를 돌릴 때도 필연적으로 사용됩니다. 개인 전용 VPN을 구축하거나(OpenVPN 등) 나만의 파일 저장소로도 활용할 수 있겠네요ㅎㅎ


물론 단순 파일저장소로 쓰기엔 속도나 비용 면에서 좀 효율이 떨어지긴 합니다만 겸사겸사 쓸 수 있다는 것이죠!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