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르노트

Data와 Code (변수, 수식, 함수) 본문

Dev/Python

Data와 Code (변수, 수식, 함수)

두콩 2018. 4. 12. 20:39

파이썬 기본 - 변수, 수식, 함수

비단 파이썬이 아니더라도, 컴퓨터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Data와 Code로 이루어진다.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떠올릴 수 있는 그것들.. 숫자라던지 ID라던지 PW라던지 특정 사진이라던지.. 그러한 형태로 표현된다. 코드는 실행되는 것이다. 화면에 내가 원하는 것을 출력하기 위한 print문 혹은 그 어떤 함수들, 다시 말해 문장이 곧 코드에 해당한다. 

 

파이썬의 Data 요소에서 가장 전형적인 것은 변수(Variable)이다. Code의 기본 단위가 문장이라면, Data의 기본 단위는 변수인 것이다. 수학에서 쓰이는 함수 개념이 프로그래밍에서도 쓰이듯이, 변수라는 개념도 사실상 동일하다. 좀 더 실제적으로 변수는 값을 하나 담을 수 있는 친구이다. 프로그램의 데이터 영역을 확인하고 싶으면, 코드 파일의 한쪽에 할당문들을 쭉 적어두면 된다. 할당문은 '변수에 값 담는 문장'이라고 보면 정확하다. a = 1 이라고 적는다면 a라는 변수, 즉 값을 담을 수 있는 친구에게 1을 담는 것을 실행하는 문장이 된다.

 

그 다음 개념은 표현식이라고도 불리는 수식(Expression)이다. 역시 수학에서 쓰는 의미와 매우 유사하게 사용된다. 수식은 곧 계산해서 결과값이 나오는 식이라고 이해하면 좋다. '수식을 계산한 결과값' 이라는 표현은 앞으로 파이썬을 공부하면서 많이 접하게 될것이고, 점차 그 의미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정리하면 수식은, 문장이 정확히 어떻게 실행될 것인지를 정하기 위해서 쓰인다. 

 

수식 raw_input(): 날것 그대로의 입력을 받아주는 수식이다. 가장 보편적인 입력 수단인 키보드를 이용한다. 인수로는 입력할 때 참고할만한 메시지(프롬프트)를 받는다. 수식 raw_input()을 계산한 결과값은 사용자가 엔터키를 칠 때까지 키보드로 입력한 내용들이다. 이렇게 얻어지는 값을  raw_input()의 반환값이라고 한다.

 

함수(function)라는 말은 너무도 많이 들어봤을법 하다. 초등학교 때부터 수학 시간이면 빼놓지않고 등장하는 개념이니 말이다. 수학적 개념에서 착안한 것은 맞지만, 그 활용에 있어서 프로그래밍의 함수는 한 두 줄로만 설명하기는 힘들다. 우선 함수에는 이름이 달려있고, 인수를 몇 개 받는지 정해져있다. 인수는 함수에 들어가는(대입되는)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함수를 호출(call)한다는 것은 그 함수의 내용물에 해당하는 문장들을 실행하겠다는 의미이다. 함수에는 기본적으로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내장함수가 있고, 프로그래머가 새롭게 정의하여 쓸 수도 있다. 새로운 함수를 정의하고 싶으면 def(함수 정의)라는 문장을 쓰면 된다. 함수 정의문은 [키워드 – 내용 – 콜론( : )] 순서를 가지는 첫 줄이 있고, '함수의 내용물'에 해당하는 문장들은 탭 키로 들여쓰기 해야 한다. 할당문이 새로운 Data를 프로그램에 도입하기 위해 쓰인다면, 함수 정의는 새로운 Code를 위해 쓰이는 셈이다!

 

 

 

 

 

 

 

 

'Dev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시퀀스 & for문  (0) 2018.04.13
파이썬 순차, 분기, 반복(sequence, branch, loop)  (0) 2018.04.13
파이썬 기본 타입 (타입의 변환)  (0) 2018.04.12
파이썬 IDLE 설치하기!  (0) 2018.03.09
Comments